
[뷰티코리아뉴스 / 이동근] 지난해 우리나라의 화장품 수출액이 전년 대비 13.4%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. 화장품 수출액이 감소한 것은 최근 5년 이래 처음이다.
뷰티코리아뉴스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6일 발표한 ‘2022년 보건산업(의약품·의료기기·화장품) 수출 실적’ 자료를 분석한 결과다. 이 자료에 따르면, 지난해 우리나라 화장품 수출액은 총 79억 5300만 달러로 전년(91억 8400만 달러)대비 13.4% 줄었다.
연도별로 보면, 2018년 62억 8200만 달러에서 2019년 65억 4800만 달러, 2020년 75억 7200만 달러, 2021년 91억 8400만 달러로 증가하다가 5년 만에 처음으로 감소세로 돌아섰다.
국가별 수출액은 중국(36억 1200만 달러, -26.0%), 미국(8억 399만 달러, -0.2%), 일본(7억 4600만 달러, -4.9%), 홍콩(3억 9400만 달러, -31.8%), 베트남(3억 7500만 달러, 23.4%) 순으로 많았다.
지난해 화장품 수출액은 상위 20개국 수출이 전체 수출액의 92.9%(73억 9100만 달러)를 차지했다.
중국은 여전히 화장품 수출 1위를 유지하였으나, 2021년 대비 ‘기초화장용 제품류’ 수출이 29.1% 감소하며 수출 비중도 2021년 53.2%에서 2022년 45.4%로 낮아졌다.
중국 기초화장용 제품류 수출액은 2021년 40억 4000만 달러에서 2022년 29.1% 감소한 28억 6000만 달러를 기록했다.
반면, 한류 영향으로 베트남(3억 7500만 달러, +23.4%), 대만(2억 달러, +21.1%), 태국(1억 5500만 달러, +13.2%), 말레이시아(1억 1500만 달러, 9.9%) 등 동남아시아 신흥국가 중심으로 수출이 증가했다.
품목별로는 ‘기초화장용 제품류’(60억 8000만 달러, △16.9%), ‘색조화장용 제품류’(8억 9900만 달러, +7.1%), ‘두발용 제품류’(3억 4200만 달러, △17.9%), ‘인체세정용 제품류’(2억 9200만 달러, △1.7%) 순으로 수출 비중이 높았다.
수출 1위 품목인 ‘기초화장용 제품류’(전체 화장품 수출의 76.4%) 수출은 베트남(2억 9000만 달러, +22.5%) 및 대만(1.4억 달러, +22.5%)에서 증가세를 보였으나, 중국, 미국, 일본 등 상위 수출국에서 감소세를 보였다.
기초화장용 제품류 수출 감소 국가는 중국(28억 6000만 달러, △29.1%), 미국(5억 5000만 달러, △3.9%), 일본(4억 8000만 달러, △11.0%), 홍콩(3억 4000만 달러, △32.2%) 등이었다.
외부활동의 본격화로 립스틱, 메이크업이 포함되어 있는 ‘색조화장용 제품류’ 수요가 증가하면서 미국(1억 4000만 달러, +40.2%)과 일본(1억 7000만 달러, +23.7%)을 중심으로 수출 증가세를 보였다.
<화장품 수출 상위 20개 국가 현황 (단위: 백만 달러, %)>
구 분 |
2018 |
2019 |
2020 |
2021 |
2022 |
비중 |
전년대비 증감률 |
|
1 |
중국 |
2,665 |
3,072 |
3,807 |
4,882 |
3,612 |
45.4 |
-26.0 |
2 |
미국 |
543 |
530 |
641 |
841 |
839 |
10.6 |
-0.2 |
3 |
일본 |
304 |
402 |
639 |
784 |
746 |
9.4 |
-4.9 |
4 |
홍콩 |
1,315 |
926 |
715 |
578 |
394 |
5.0 |
-31.8 |
5 |
베트남 |
169 |
224 |
263 |
304 |
375 |
4.7 |
23.4 |
6 |
러시아 |
159 |
212 |
244 |
290 |
287 |
3.6 |
-1.2 |
7 |
대만 |
159 |
155 |
162 |
165 |
200 |
2.5 |
21.1 |
8 |
태국 |
166 |
140 |
131 |
137 |
155 |
1.9 |
13.2 |
9 |
싱가포르 |
132 |
128 |
130 |
117 |
119 |
1.5 |
1.6 |
10 |
말레이시아 |
88 |
89 |
89 |
105 |
115 |
1.5 |
9.9 |
11 |
영국 |
41 |
44 |
55 |
64 |
64 |
0.8 |
-0.9 |
12 |
필리핀 |
40 |
46 |
39 |
43 |
62 |
0.8 |
44.4 |
13 |
프랑스 |
68 |
48 |
48 |
57 |
60 |
0.8 |
5.7 |
14 |
아랍에미리트 |
16 |
17 |
31 |
43 |
58 |
0.7 |
35.6 |
15 |
캐나다 |
30 |
33 |
41 |
41 |
58 |
0.7 |
40.8 |
16 |
인도네시아 |
51 |
61 |
62 |
71 |
57 |
0.7 |
-20.3 |
17 |
키르기스스탄 |
11 |
24 |
24 |
40 |
53 |
0.7 |
33.2 |
18 |
호주 |
35 |
43 |
47 |
45 |
52 |
0.7 |
14.6 |
19 |
카자흐스탄 |
23 |
24 |
31 |
45 |
50 |
0.6 |
11.2 |
20 |
인도 |
12 |
17 |
20 |
32 |
37 |
0.5 |
15.7 |
20개국 합계 |
6,026 |
6,237 |
7,219 |
8,683 |
7,391 |
92.9 |
-14.9 |
|
기타국가 |
256 |
311 |
354 |
501 |
563 |
7.1 |
12.4 |
|
총 수출 |
6,282 |
6,548 |
7,572 |
9,184 |
7,953 |
100.0 |
-13.4 |
<화장품 수출 상위 10개 품목 현황 (단위: 백만 달러, %)>
순위 |
품목 |
2021 |
2022 |
비고 |
||
비중 |
누적비중 |
전년대비 증감률 |
||||
1 |
기초화장용 제품류 |
7,315 |
6,080 |
76.4 |
76.4 |
-16.9 |
2 |
색조화장용 제품류 |
839 |
899 |
11.3 |
87.7 |
7.1 |
3 |
두발용 제품류 |
417 |
342 |
4.3 |
92.0 |
-17.9 |
4 |
인체세정용 제품류 |
298 |
292 |
3.7 |
95.7 |
-1.7 |
5 |
눈화장용 제품류 |
216 |
226 |
2.8 |
98.6 |
4.8 |
6 |
어린이용 제품류 |
46 |
46 |
0.6 |
99.1 |
-0.1 |
7 |
손발톱용 제품류 |
30 |
39 |
0.5 |
99.6 |
29.9 |
8 |
방향용 제품류 |
11 |
18 |
0.2 |
99.9 |
59.2 |
9 |
목욕용 제품류 |
8 |
6 |
0.1 |
99.9 |
-14.7 |
10 |
체취방지용 제품류 |
3 |
4 |
0.0 |
100.0 |
22.9 |
상위 10개 품목 합계 |
9,182 |
7,952 |
100.0 |
100.0 |
-13.4 |
|
총 수출 |
9,184 |
7,953 |
100.0 |
100.0 |
-13.4 |